부동산/건설서식.인.허가서식 토지 소유자가 토지 사용을 허락하는 내용의 문서.

토지 소유주가 타인이 본인의 토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내용을 문서로 작성한 서류로 시행자가 토지의 소유권을 확보하지 못하고 계약만 이루어진 상황에서 인·허가용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즉 소유권 이전등기를 하지 않고 그 땅에 건축허가를 받을 때 토지사용승낙서를 이용하며, 지구 단위 계획에 따른 건축 인·허가를 진행할 때 사전에 미리 토지 소유주에게 토지사용승낙서와 인감 증명을 요청하게 된다.
토지사용승낙서는 정형화된 형식이 있지 않으며, 토지 매매계약서의 내용을 근거로 작성된다.
토지사용승낙서는 토지 소유자가 바뀌면 다시 받아야 하므로, 불완전한 토지사용권이라 할 수 있다.
발주예정표 (order schedule, 發注豫定表)
제품을 발주하기 전 발주 예정 사항을 기록한 문서.
발주란 물건을 보내달라고 주문하는 것을 말하는데, 주로 공사나 용역 따위의 큰 규모의 거래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발주서를 작성하기 전, 발주 예정사항을 기록하여 제품을 주문하고 제작하는 데 기본적인 사항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발주예정표는 발주하고자 하는 품목의 수량과 단가, 금액 및 납기일, 대상업체 등을 기록하는 서식이다.
발주 예정 사항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문서이기 때문에 발주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발주 예정 사항을 기록하고 보관하는 용도로 활용하므로 발주 내역을 정확하게 작성하여 상부의 결재를 받도록 한다.
발주요청서 (letter of request for order, 發注要請書)
물건의 주문을 요청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서식.
발주는 매매 계약이나 공사 계약에서 주문을 하는 행위를 말한다.
협력업체를 추천하여 물건의 주문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작성하는 것이 발주요청서이다.
발주요청서는 거래처에게 교부하기 위한 용도로 작성한다.
발주요청서에는 발주 요청 분야, 협력업체명, 협력업체 선정 시 주의사항 등을 작성하여 기록하도록 한다.
요청서는 작성 후 바로 거래처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에 보고된 후 결재를 받고 나서 거래처로 전달된다.
발주의뢰서 (written request of order, 發注依賴書)
물건의 발송을 요구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
발주는 매매 계약이나 공사 계약에서 필요한 물품을 주문을 하는 것을 말한다.
물건을 보내 달라고 주문하는 것으로, 큰 규모의 거래에서 이루어진다.
발주의뢰서는 거래처에 발주를 요청하기 위해 작성하는 것이다.
발주의뢰서에는 발주 대상이 되는 물품 정보와 발송 주소, 수령자 성명, 연락처 등을 기록한다.
개인 간의 거래가 아닌 경우에는 상호명과 지역명을 추가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발주전표 (order slip, 發注傳票)
규모가 큰 거래에서 거래 담당자가 자재를 주문한 내용을 정리한 문서.
주로 공사나 용역 등의 규모가 큰 거래에서 담당자는 필요한 자재를 요청하기 위해 발주전표를 작성한다.
발주전표는 날짜, 품명, 수량, 용도, 발주처 등을 기재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자재 발주 내용을 요약, 정리한 표를 말한다.
발주전표를 작성하는 목적은 거래 담당자가 발주 처리에 관한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이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회사에서 회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으로 전표를 작성하기 때문에 발주전표를 별도로 작성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발표회 안내문 (recital notice, 發表會 案內文)
발표회 일정에 대하여 안내하기 위해 작성하는 서식.
발표회는 연구나 창작, 기타 활동의 결과를 공개적으로 알리는 모임을 말한다.
지금까지의 성과를 알리는 것뿐만 아니라 점검 및 개선사항을 검토하기 위한 하나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발표회안내문은 발표회에 초대할 사람들에게 발송하는 것으로, 발표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다.
발표회안내문에는 일시, 장소, 발표회 내용 등을 기록한다.